-
목차
"서울시가 집수리비 대신 내준다고요?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 완. 전. 정. 리
서울에 살고 있는 2030 여러분, 혹시 반지하, 옥탑방, 오래된 연립주택에서 살고 계신가요? 집도 낡고, 수리할 돈도 부담스러운 요즘, 서울시가 최대 1,200만 원까지 집수리비를 대신 내주는 제도가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시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을 재밌고 쉽게 알려드릴게요!
이게 무슨 제도예요?
서울시가 시행하는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은 10년 이상 된 노후 저층주택에 거주하는 시민에게 집수리 비용의 50~80%, 최대 1,200만 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이에요.
'우리 집은 너무 오래돼서 공사할 엄두도 안 났는데…' 싶은 분들께 실제 수리비의 대부분을 서울시가 대신 내주는 혜자 정책인 거죠!
서울 전역의 10년 이상 된 저층주택 중 아래 조건에 해당하면 신청 가능해요.
✅ 지원 대상 주택 유형
- 단독주택 (다가구, 다중 포함)
- 공동주택 (다세대, 연립)
✅ 지원 대상 주택 유형
- 단독주택 (다가구, 다중 포함)
- 공동주택 (다세대, 연립)
✅ 지원 대상 가구 조건
- 중위소득 이하의 주거 취약가구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 중증 장애인, 65세 이상 고령자, 다문화·한부모·다자녀 가정
- 반지하 주택, 불법건축물 기준 해소된 옥탑방
- 주택성능개선지원구역 내 20년 이상 주택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서울 전역의 10년 이상 된 저층주택 중 아래 조건에 해당하면 신청 가능해요.
✅ 지원 대상 주택 유형
- 단독주택 (다가구, 다중 포함) :
- 공동주택 (다세대, 연립)
✅ 지원 대상 가구 조건
- 중위소득 이하의 주거 취약가구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 중증 장애인, 65세 이상 고령자, 다문화·한부모·다자녀 가정
- 반지하 주택, 불법건축물 기준 해소된 옥탑방
- 주택성능개선지원구역 내 20년 이상 주택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를 참고해 내 소득이 해당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가구원 수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월 소득 기준)
1인 가구 약 2,243,000원 2인 가구 약 3,710,000원 3인 가구 약 4,777,000원 4인 가구 약 5,838,000원 5인 가구 약 6,870,000원 6인 가구 약 7,877,000원
뭘 해준다는 거죠?
서울시가 지원하는 집수리 범위는 생각보다 광범위해요! 실질적인 주거 개선에 도움 되는 세 가지 범위로 나뉘어요.
- 성능 개선
- 단열, 방수, 창호, 급배수, 전기 설비까지 가능!
- 안전시설 설치
- 침수 예방, 화재 감지기, 방재 시스템 등
- 편의시설 설치
- 문턱 제거, 안전 손잡이 등 고령자/장애인 배려 설비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이제 가장 궁금한 지원 금액! 아래 표로 정리해 봤어요
🏡 주택 유형 🔄 보조율 💸 최대 지원금 주거 취약가구 80% 최대 1,200만원 반지하 주택 50% 최대 600만원 옥탑방/성능개선구역 50% 최대 1,200만원 예시:
- 반지하에 거주하는 사회초년생이 단열 공사를 하려면?
→ 견적 1,000만 원일 경우, 서울시가 500만 원 부담! - 기초생활수급자 가구는?
→ 최대 1,200만 원까지 지원 가능!
어떻게 신청하나요?
📆 신청 기간: 2024년 4월 21일 ~ 5월 2일
📍 신청 방법:
- 신청서, 공사 계획서, 견적서 등 구비서류 준비
- 거주 중인 자치구청에 제출
- 양식: 서울시 or 집수리닷컴
세입자도 가능한가요?
YES! 세입자도 지원받을 수 있어요. 단, 임대인과 "상생 협약서" 체결이 필요해요.
조건은 딱 2가지:
- 임차료 4년간 동결
- 4년간 거주 보장
세입자에게도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주려는 제도인 만큼, 이사 걱정 없이 리모델링 가능한 찬스랍니다!
전문가 무료 상담도 있어요!
“이걸 어떻게 계획하고, 어떤 업체를 불러야 하지...?” 고민되시죠?
서울시는 무료 방문 상담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전문가가 직접 오셔서 집 상태 진단부터 공사 계획까지 도와줘요.
✅ 신청처: 집수리닷컴
🚀 지금이 찬스입니다!
2025년 서울시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은 단순한 리모델링이 아닌, 주거 안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핵심 정책입니다.
2030 세대에게는 처음 내 집을 가꾸는 기회이자, 부모님 댁을 개선해 드릴 기회일 수도 있죠.
서울시민이라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이 혜택, 절대 놓치지 마세요!
'정부지원 & 보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등급별 본인부담금 계산법 – 2025년 현실 적용 가이드 (0) 2025.04.19 “등급이 갈립니다! 장기요양 방문조사 때 꼭 말해야 할 7가지” (0) 2025.04.19 요양등급별 지원금 얼마나 받을까? 2025년 장기요양보험 현실 가이드 (0) 2025.04.18 “생애 단 1번 기회! 서울 청년월세지원 2025 조건·절차 총정리” (0)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