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tree0153 님의 블로그

정보가 경쟁력이다.

  • 2025. 4. 19.

    by. moneytree0153

    목차

      요양등급별 본인부담금 계산법

      1. 본인부담금이란?

      장기요양보험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85~100%까지 비용을 부담해 주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서비스 이용자도 일정 부분을 직접 부담해야 하며, 이를 본인부담금이라고 합니다.

      총 이용금액 = 공단 부담금 + 본인부담금


      2. 요양등급별 본인부담률 정리 (2025년 기준 예상)

      요양등급 본인부담률 (일반)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1~2등급 15% 0% 6%
      3~5등급 15% 0% 6%
      인지지원등급(5등급 치매) 6% 0% 3%
       기초생활수급자는 전액 공단 부담(0%), 차상위계층은 6% 이하로 감면됩니다.

      3. 서비스별 본인부담금 계산 방법

      ① 방문요양 서비스

      • 1일 방문 시간 × 일당 단가 × 이용 횟수 × 본인부담률
      • 2025년 기준 단가는 약 1시간 14,000원~15,000원 수준 예상

      예시

      • 월 20일, 하루 2시간 이용 시:
        → 2시간 × 15,000원 × 20일 = 600,000원 (총금액)
        → 본인부담: 90,000원 (15%)

      ② 주야간보호센터

      • 1일 단가 × 이용일수 × 본인부담률
      • 보통 1일 약 50,000원 ~ 70,000원 수준
      • 식비는 별도 전액 본인 부담 (1식 3,000~5,000원)

      예시

      • 주 3회 센터 이용, 월 12회 × 60,000원 = 720,000원
        → 본인부담: 108,000원 (15%)
        → + 식비 (점심 4,000원 × 12일) = 48,000원 추가 부담

      ③ 단기보호 서비스 -요양시설 입소 단기 이용

      • 1일 입소비용 + 식비 + 간식비 등 추가금이 발생
      • 1일 평균 80,000원 → 본인부담 12,000원 + 식비 6,000원

      예시

      • 5일 입소 시:
        → (80,000원 × 5일) = 400,000원
        → 본인부담 60,000원 + 식비 약 30,000원
        총 부담: 약 90,000원

      ④ 복지용구 대여/구매

      • 본인부담률: 15% (대여 시) / 15% (구매 시, 연간 한도 내)
      • 전동침대, 이동보조기, 욕창방지 매트리스 등 지원 품목 존재

      예시

      • 전동침대 대여비: 월 40,000원 → 본인부담: 6,000원

      4. 등급별 월 최대 지원금 한도 (2025 예상)

      요양등급 월 최대 공단지원금 예상 월 본인부담금 (15%)
      1등급 약 170만 원 약 25만 원
      2등급 약 145만 원 약 21만 원
      3등급 약 120만 원 약 18만 원
      4등급 약 100만 원 약 15만 원
      5등급 약 80만 원 약 12만 원
      인지지원등급 약 60만 원 약 36,000원 (6%)

      ※ 이는 ‘이용 한도’이며, 실제 부담금은 서비스 이용량에 따라 다릅니다.


      5. 본인부담금 감면받는 방법

      감면 대상 혜택 내용 신청 방법
      기초생활수급자 본인부담금 전액 면제 (0%) 공단에 자동 반영 또는 제출
      차상위계층 본인부담금 6%로 감경 건강보험공단 확인 필요
      경감대상자 일정 조건 충족 시 9~12%로 경감 주민센터 또는 공단 문의

      추가 팁: 지자체별 간병비 바우처, 가족요양급여 제도도 함께 확인하면 좋습니다.

      6. 실제 사례 비교 – 얼마나 절약될까?

      사례 A – 2등급 어르신, 방문요양 월 20회 + 복지용구 대여

      • 총 서비스 이용금: 70만 원
      • 본인부담금 (15%): 105,000원

      사례 B – 5등급 어르신, 인지지원 방문요양 + 주야간보호 주2회

      • 총 이용금: 60만 원
      • 본인부담금 (6%): 36,000원
      • 식비 별도: 30,000원
      • 총 부담: 약 66,000원

      추천 조합 예시

      어르신 상태 추천 서비스 조합효과
      거동이 어려움 방문요양 + 복지용구 대여 가족 부담 최소화
      치매 초기 인지지원 방문요양 + 주야간보호 인지기능 유지, 보호자 업무 병행 가능
      단기간 입소 필요 단기보호 + 복지용구 대여 휴식 확보, 낙상 방지

      본인부담금, 알고 준비하면 충분히 감당 가능합니다!

      장기요양 서비스는 제대로 이용하면 실질적인 돌봄의 무게를 덜어주고, 경제적 부담도 상당히 낮출 수 있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서비스별 요금 구조, 등급별 한도, 감면 조건 등을 모르면 오히려 혜택을 제대로 못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