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tree0153 님의 블로그

정보가 경쟁력이다.

  • 2025. 4. 28.

    by. moneytree0153

    목차

      2025년부터 영아수당 지원 기간이 최대 3년(만 0~36개월)으로 연장되었어요.

      무엇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신청 방법과 주의 사항을 확인하시고 신청하세요.


      영아수당이란?

      • 영아수당은 갓 태어난 아기(0~36개월)를 키우는 가정에
        매달 일정 금액을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 목표는 ‘육아 비용 부담 완화’와 ‘가족이 함께하는 시간 늘리기’ 예요.

      2025년 정책 변경 핵심

      구분 기존(~2024년) 변경(2025~)
      지원 연령 생후 0~12개월 생후 0~36개월 (3년)
      월 지원 금액 최대 30만원 최대 50만원까지 단계적 인상
      지급 방식 현금 또는 바우처 선택 현금(자동 지급)
      신청 기한 출생 후 60일 이내 출생 후 60일 이내 (변동 없음)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1. 지원 대상
        • 생후 0개월부터 만 36개월(3세 미만)까지 아동
        • 부모·보호자가 한국 국적이며, 가구 소득·재산 기준 충족 시
      2. 월 지원 금액
        • 0~12개월: 최대 월 50만 원
        • 13~24개월: 최대 월 40만 원
        • 25~36개월: 최대 월 30만 원
        • (단계적 인상 중이며, 2025년부터 순차 적용)
      3. 소득·재산 기준
        • 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가구 총 재산 4억 원 이하

      영아수당 신청방법

      1. 온라인 신청
        • 복지로 로그인 → ‘영아수당’ 선택 → 신청서 작성
        • 오프라인 신청
          •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신청서 작성 후 제출
      2. 신청 기한
        • 출생 후 60일 이내 반드시 신청해야
        • 기한 내 신청하지 않으면, 신청 월부터 지급

      꼭 챙겨야 할 신청 서류

      • 출생증명서 또는 의료기관 발급 영유아 등록 확인서
      • 가족관계증명서 (가구 구성 확인용)
      • 통장 사본 (지원금 입금용)
      • 추가: 소득·재산 관련 증빙서류 (해당 시)

      지원금 언제 받을 수 있나요?

      • 매월 25일경 전월분이 자동 입금
      • 만약 입금이 지연되면 가까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문의

      자주 묻는 질문(FAQ)

      Q1. 이미 영유아보육료를 받고 있는데, 중복 가능한가요?
      가능합니다. 영유아보육료와 영아수당은 별도 제도로 중복 수급 가능해요.

      Q2. 신청 기한을 놓쳤어요. 소급 수령할 수 있나요?
      아니에요. 기한(출생 후 60일) 지나면 소급 지급은 불가합니다.

      Q3. 영아수당과 양육수당이 뭐가 다른가요?
      영아수당은 0~36개월 아동, 양육수당은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36개월 이상 아동에게 지급돼요.


      활용 꿀팁

      • 신생아 출산 후, 퇴원 전 병원에서 ‘출생증명서’ 챙기기
      • 복지로 앱에 미리 가족 정보 등록해 두면 신청 시간 단축
      • 알림 설정: 출생 50일 차쯤 정부 24 알림으로 신청 기한 미리 확인

      마무리하며

      2025년부터 영아수당 지원 기간이 ‘1년→3년’으로 크게 늘어납니다.
      육아 비용 부담을 확 줄여 주는 좋은 기회이니, 출생 후 60일 이내 꼭 신청하세요!
      더 궁금한 점은 복지로주민센터에 문의해 보세요.